<Intertwined, 얽어진>, <무정주>
: 구지은, 김유경, 김이화 공동제작
2022
9분 47초, 퍼포먼스, 사운드
131작은미술관, 울산
주최|주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울산시남구문화원
9 mins 47 sec, Performance and Sound
131 Gallery, Ulsan, S.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Korea, ARKO
2022
기증받은 물품
<얽어진>
이 길을 수 년간 걸었을 모든 사람에게 경외를 표하며, 그 기억의 가장 최근 레이어에 한 층을 더한다. 나는 기억의 전달에 충실한다. 타인의 기록은 그저 감각일 뿐이다. 모든 사실은 공간 안에 존재했던 사람만이 인지할 자격이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타자적이다.
<Intertwined>
I honor those who have traversed this path for years, each contributing to the rich strata of our collective memory. My work is a faithful transmission of these layered recollections. The narratives of others are but fleeting impressions, and true recognition of any fact belongs solely to those who have lived within its realm. Yet, even this recognition remains inherently subjective.
<무정주無定住>
오늘 우리는 이주와 정주, 개발과 재생 사이에서 벌어지는 간극 속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억되지 못할 공간, 노동과 생계의 공간 그리고 사이의 공간들, '틈' 속에서 사회의 바닥에서부터 흔들거리는 사회와 개인의 기억과 미시사들, 정착과 안정에 대한 삶의 원초적인 희망들은 도시 위에서 부유하고 정주하지 못하고 있다. <무정주 無定住>는 이러한 부유하지 못하고 떠돌며, 여전히 이주와 정주의 사이에서 기록되지 못한 기억들을 껴안고 살아가는 오늘날 삶의 단상들을 임시적 설치물로 표현한다.
<mo-jeong-ju>
Today, we find ourselves amidst the divide between migration and settlement,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Yet, within the spaces that remain forgotten the realms of labour, livelihood, and the in-between lie the tremors of society and individual memory, the microhistories of those at the margins. The primal hope for stability and settlement drifts above the city, unable to find a place to rest. captures these transient, unrecorded memories that exist between migration and settlement, expressing the fleeting vignettes of contemporary life through ephemeral installations.








<얽어진>
이 길을 수 년간 걸었을 모든 사람에게 경외를 표하며, 그 기억의 가장 최근 레이어에 한 층을 더한다. 나는 기억의 전달에 충실한다. 타인의 기록은 그저 감각일 뿐이다. 모든 사실은 공간 안에 존재했던 사람만이 인지할 자격이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타자적이다.
<Intertwined>
I honor those who have traversed this path for years, each contributing to the rich strata of our collective memory. My work is a faithful transmission of these layered recollections. The narratives of others are but fleeting impressions, and true recognition of any fact belongs solely to those who have lived within its realm. Yet, even this recognition remains inherently subjective.
<무정주無定住>
오늘 우리는 이주와 정주, 개발과 재생 사이에서 벌어지는 간극 속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억되지 못할 공간, 노동과 생계의 공간 그리고 사이의 공간들, '틈' 속에서 사회의 바닥에서부터 흔들거리는 사회와 개인의 기억과 미시사들, 정착과 안정에 대한 삶의 원초적인 희망들은 도시 위에서 부유하고 정주하지 못하고 있다. <무정주 無定住>는 이러한 부유하지 못하고 떠돌며, 여전히 이주와 정주의 사이에서 기록되지 못한 기억들을 껴안고 살아가는 오늘날 삶의 단상들을 임시적 설치물로 표현한다.
<mo-jeong-ju>
Today, we find ourselves amidst the divide between migration and settlement,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Yet, within the spaces that remain forgotten the realms of labour, livelihood, and the in-between lie the tremors of society and individual memory, the microhistories of those at the margins. The primal hope for stability and settlement drifts above the city, unable to find a place to rest. captures these transient, unrecorded memories that exist between migration and settlement, expressing the fleeting vignettes of contemporary life through ephemeral installations.
<Intertwined, 얽어진>, <무정주>
: 구지은, 김유경, 김이화 공동제작
2022
9분 47초, 퍼포먼스, 사운드
131작은미술관, 울산
주최|주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울산시남구문화원
9 mins 47 sec, Performance and Sound
131 Gallery, Ulsan, S.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Korea, ARKO
2022
기증받은 물품
<얽어진>
이 길을 수 년간 걸었을 모든 사람에게 경외를 표하며, 그 기억의 가장 최근 레이어에 한 층을 더한다. 나는 기억의 전달에 충실한다. 타인의 기록은 그저 감각일 뿐이다. 모든 사실은 공간 안에 존재했던 사람만이 인지할 자격이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타자적이다.
<Intertwined>
I honor those who have traversed this path for years, each contributing to the rich strata of our collective memory. My work is a faithful transmission of these layered recollections. The narratives of others are but fleeting impressions, and true recognition of any fact belongs solely to those who have lived within its realm. Yet, even this recognition remains inherently subjective.
<무정주無定住>
오늘 우리는 이주와 정주, 개발과 재생 사이에서 벌어지는 간극 속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억되지 못할 공간, 노동과 생계의 공간 그리고 사이의 공간들, '틈' 속에서 사회의 바닥에서부터 흔들거리는 사회와 개인의 기억과 미시사들, 정착과 안정에 대한 삶의 원초적인 희망들은 도시 위에서 부유하고 정주하지 못하고 있다. <무정주 無定住>는 이러한 부유하지 못하고 떠돌며, 여전히 이주와 정주의 사이에서 기록되지 못한 기억들을 껴안고 살아가는 오늘날 삶의 단상들을 임시적 설치물로 표현한다.
<mo-jeong-ju>
Today, we find ourselves amidst the divide between migration and settlement,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Yet, within the spaces that remain forgotten the realms of labour, livelihood, and the in-between lie the tremors of society and individual memory, the microhistories of those at the margins. The primal hope for stability and settlement drifts above the city, unable to find a place to rest. captures these transient, unrecorded memories that exist between migration and settlement, expressing the fleeting vignettes of contemporary life through ephemeral installations.







